<aside> 💡 ‘완료내역서’는 ‘완료내역서’ 메뉴에 들어가셔서 등록하실 수도 있지만, 교정접수에 있는 내용을 바탕으로 등록하실 수 있습니다.
여기에서는 교정접수 페이지에서 해당 접수내용을 바탕으로 완료내역서를 등록하는 과정을 설명드리겠습니다.
’완료내역서’와 ‘견적서’는 내용이 다소 복잡할 수 있습니다. 차근차근 설명해드리겠습니다.
</aside>
<aside> 💡 교정접수 내역에서 접수내역을 가져올 수도 있고, 완료내역서 페이지 자체에서 등록할 수도 있습니다.(여기에서는 접수내역을 그대로 가져오는 것을 토대로 설명드리겠습니다.)
</aside>
‘교정접수’ 페이지에서 ‘완료내역서’ 항목의 버튼 클릭

완료내역서 페이지 확인

| 1 | 교정접수 내역에 있던 ‘신청업체’ 항목의 업체명 |
|---|---|
| 2 | 완료내역서 타입입니다. ‘교정’, ‘소급료 미포함’으로 구분되고, ‘소급료 미포함’의 경우, 말그대로 품목별 소급료가 합산되지 않은 상태로 계산이 이루어집니다. |
| 3 | ‘할인율’ 입니다. 왼쪽과 오른쪽 각각 자체할인율, 대행할인률을 의미합니다. 완료내역서 페이지에서 수정이 가능하지만, |
| 기본값은 ‘업체관리’ 페이지에서 업체별로 할인율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. | |
| 4 | ‘금액절사’ 입니다. 금액절사를 하는 기준을 ‘공급가액’ 기준으로 할지, ‘총 청구금액’을 기준으로 할지 선택하여 금액을 절삭 적용할 수 있습니다. |
| 5 | ‘교정접수 통합’ 입니다. ‘신청업체명’을 기준으로 등록된 접수내역에서 완료내역서를 작성하지 않은 접수내역을 조회하여 해당 접수내역의 품목들을 합칠 수 있습니다. |
| 6 | 접수내역에 있는 성적서(품목) 내역입니다. |
<aside> 💡 위 에서 가져온 접수내역을 바탕으로 한 완료내역서 정보를 일부 수정하여 어떻게 계산식이 이루어지는지 설명드리겠습니다.
</aside>
테스트 입력 화면

<aside> 💡 테스트를 위해 각각의 품목에 ‘단가’를 부여하고, 수량을 ****임의로 조정했습니다. 또한 자체할인율 **10%**를 적용시켰고, 출장비(우측 상단) 30,000원을 추가했습니다.
</aside>